반응형


전문가분들께서는 뒤로 가기를 누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거래처 작업하다가 갑자기 생각나는 게 많아져서 글로 남겨봅니다.

컴퓨터 데스크탑 조립부터 수리까지에 대한 이야기를 주로 해보려 합니다. 

PC수리에 관심이 있으시거나 초보 수리기사님들을 위해 한번쯤은 읽어봐 주셨으면 하는 마음에 글을 씁니다.

조립 컴퓨터 데스크탑을 기준으로 잡고 팩트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1. 컴퓨터 조립 (및 업그레이드)

중, 고등학생 앉혀놓고 한 두 번만 같이 조립해주고 가르쳐 주면 웬만한 조립 컴퓨터는 혼자 할 수 있습니다. 

선이 많아지거나 커스텀 수랭처럼 하이엔드 작업을 하지 않는 기본 데스크탑 조립은 정말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유튜브나 블로그를 보면서 독학으로 하기에도 너무나 쉬운 작업이 컴퓨터 조립입니다. 

제가 이 일을 하고 있어서 쉬운게 아니라 정말 쉽습니다.  


2. 컴퓨터 수리 (하드웨어)

하이엔드, 산업용이 아닌 이상. 노멀 한 데스크탑 수리는 매우 쉽습니다.

하드웨어 고장은 정직해서 어디 고장 났는지 찾기가 너무 쉬운 편이고 대부분이 부품 불량이거나 접촉 불량입니다. 

부품 불량이 났으면 그 부품을 교체 하면 되고, 접촉 불량이면 탈착 했다가 재장착하시면 됩니다. 

데스크탑은 대표적으로 CPU, 메인보드, 메모리, 그래픽카드, SSD, HDD, 파워, 케이스, 쿨러로 이루어져 있는데

부품 불량은 저가형 제품들을 제외하면 파워가 잘 나타나고, 메인보드, 그래픽카드 순입니다. 

하나하나 갈아보시면서 전원을 넣어보면 바로 작동을 하기 때문에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부품 보증기간은 평균적으로 다 3년이기 때문에 구입하고 3년 이내면 다 무상으로 교체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접촉 불량은 메모리, 그래픽카드가 생기는데 그냥 뺏다가 다시 꽂으면 됩니다. 이 것만 아셔도 수리는 끝입니다.  

간혹 점검을 할 때 이게 메인보드 문제인지 파워인지 CPU인지 정말 가끔 애매한 증상이 나타날 때가 있지만 

그것 또한 금방 알아낼 수 있을 정도로 찾고 해결하기 쉽습니다.

많이 만져보고 많이 보면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금방 찾고 해결이 가능합니다. 

수리기사들은 간단한 문제는 1~15분으로 점검이 가능하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까지 알 수 있습니다.

애매한 증상은 시간이 좀 걸릴 수 있겠지만 대부분 15분 전 후로 점검이 끝납니다.   


3. 컴퓨터 부품 (보증기간) - 중요함

제조사마다 유통사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평균적인 무상 보증기간을 간단하게 알려드리자면

CPU - 3년 보증, 메인보드 - 3년 보증, 메모리 - 3년 보증, 그래픽카드 - 3년 보증, SSD - 3년 보증,

HDD - 2년보증, 파워 - 5년 보증, 케이스 - 1년 보증, 쿨러 - 1년 보증입니다.

그 이상 보증해주는 제품도 있고, 그 이하 보증을 해주는 것도 있습니다. 

제조사, 유통사 홈페이지에 가보시면 정확하게 언제까지 무상으로 보증해주는지 나와있으니 확인하셔서

문제가 발생하면 서비스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4. 컴퓨터 수리 (소프트웨어)

컴퓨터 수리에서 가장 애매하면서 쉽게 할 수 있으면서 고장도 잘 나는 것이 라면 소프트웨어일 겁니다.

고장이란 표현이라기 보단 애러, 충돌, 실행 안됨 요 정도로 볼 수 있겠습니다.

많이들 알고 계시는 윈도우 설치, 포맷은 새 컴퓨터이거나 중요한 자료가 없거나 하다면,

그냥 USB 하나로 클릭 몇 번으로 다 끝나는 아주 쉬운 작업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자료(data)가 있다던지 프로그램을 재설치하기 힘든데 포맷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복잡해지죠

그럴 땐 여러 방면 생각을 하면서 작업을 해야 합니다. 

data가 있다면 그 저장장치(SSD, HDD)를 다른 곳에 연결해서 data를 빼내고 작업을 해야겠죠?

프로그램은 포터블 프로그램이 아니라면 다 설치를 해야 하는데 머리가 아파지기 시작합니다.

운영체제(윈도우)는 문제가 없는데 한글, 오피스, 기타 소프트웨어가 작동이 안 되거나 문제가 있다고요?

소프트웨어 버전, 호환성 때문에 안 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정품 or 불법으로 나눠서 설명을 드려야 하는데

정품인 경우에는 도와드리고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너무나 많겠지만 불법은 너무 많은 이유로 

해결이 되거나 해결이 정말 안 될 수 도있습니다. (소프트웨어도 정품을 이용합시다.)   

컴퓨터 수리는 소프트웨어 문제가 많기 때문에 무조건 경험이 많은 사람이 잘 알고 해결이 빠릅니다.

10년 넘게 이 업을 해왔지만 어떤 소프트웨어는 들어는 봤어도 모르는 건 정말 모릅니다. 


5. 컴퓨터 수리 (기업체 또는 매장)

가정집이 아닌 여러 대 사용하는 곳은 회사마다 매장마다 가게마다

다 다른 유저들과 네트워크와 주로 사용하는 장치 및 프로그램들이 있습니다.

기존 거래처가 아닌 처음 간 곳에서는 PC를 점검하기 전 무조건 전체부터 파악을 해야 합니다.

고장 난 것부터 점검을 하 되, 고장 난 컴퓨터만 볼 것이 아니라 주변장치나 프로그램들을 미리 다 봐 두셔야 합니다.

그 이유는 초보이거나 경험이 없는 사람 또는 수리기사들은 일단 안되면 부품 갈고 포맷하는 게 전부이기 때문에

실수를 할 때가 정말 많은데... 고장이 안 난 부품을 고장으로 처리한다거나 고장인데 고장이 아닌 거라 생각하거나

그리고 또 많이 하는 실수가 대부분 회사 또는 매장에 중요한 자료 data를 날려버린다던가

당장 써야 하는 중요한 주변기기, 장치들을 연결을 못하거나 ;;

그렇기 때문에 항상 확인 또 확인하시고 작업을 하시기 바랍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항상 자료, data는 확인 또 확인하셔야 하고 물어보시고 작업을 하셔야 합니다.

주변장치나 프로그램은 미리 확인하시고 다 정상 작동하게 만들어 주셔야 합니다.  


6. 컴퓨터 수리 사기

제가 자주 언급하는 컴퓨터 수리 사기에 대해서 또 이야기를 해보자면

정말 생각보다 주변에 많이 보이고 있는 쓰레기들입니다. 

부품 바꿔치기부터. 멀쩡한걸 고장이라고 하며 자기가 가져가고 다른 걸 팔아먹고

터무니없고 말도 안 되는 금액을 청구하는 쓰레기들입니다. 

특히나 출장 수리 다니는 기사들 중에 사기꾼들이 많습니다. 

그렇다고 매장 운영하면서 사기 치는 사람은 없냐? 있습니다. 

그러니 항상 조심하시고 믿을만한 업체를 찾으시거나 직접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는 매장도 운영하고 출장도 다닙니다. 


마치며..

저는 2010년 이 업계를 뛰어들었고 2012년부터 지금까지 PC 및 주변기기 매장 운영을 해왔는데

이런 일 저런 일이 많았지만 최근 비트코인 채굴 문제로 그래픽카드 가격 폭등으로 너무 지쳐서 

이제 이 업을 부업으로 전환을 했고, 이 업을 점점 접으려고 하는 사람입니다.

그래서 지금부터라도 자료를 정리하고 또 자료가 생기면 아낌없이 블로그에도 유튜브에도 올려서

누구든 자가 점검, 수리를 하는 세상이 오길 바라며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

그래야 PC업계 사기꾼들이 많이 줄어들지 않을까요 ^^? 


두서없는 긴 글 읽어주신 여러분께 감사를 드리며... 

앞으로 데스크탑 수리 관련된 모든 자료를 업로드해보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이번 포스팅은 휴대폰 매장 유플러스 대리점에서

PC 부팅이 안된다는 연락을 받고 작업한 내용과 휴대폰 매장에서

컴퓨터는 어떤 걸 체크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휴대폰 매장 / 컴퓨터 수리

데스크탑 2대 전원은 켜짐, 모니터 화면이 안 들어오는 증상

 

PC1 증상 : 모니터 화면 안 들어옴

PC1 원인 : 메모리 접촉 불량 (자주 일어나는 문제 )

PC1 해결 : 메모리 뺏다가 다시 꽂거나 다른 슬롯에 장착하면 정상작동

 

PC2 증상 : 동일 증상 (메모리 접촉 불량 x)

PC2 원인 : 케이스 문제 ( 이사하면서 옮기던 중 케이스 파손 내부 문제 )

PC2 해결 : 분해 - 부품별 점검(이상 없음) - 케이스 파손된 부분 제거 - 재조립 - 정상작동

 

파손된 부분만 봐도 되지 않나? 생각하시겠지만 데스크탑이나 노트북은 다른 가전제품과 달리

충격으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 점검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신분증 스캐너

휴대폰 매장들은 대부분 

휴대폰 개통을 위해서 신분증 스캐너(복사기)가 있습니다.

요 녀석은 드라이버는 찾아서 설치를 할 수 있으나 정상적으로 작동하려면 

결국엔 원격으로 설정값을 다 받은 후에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원격제어를 받기 전까지 제가 이래저래 건드려봤지만 사용이 안되더군요

이 매장뿐 아니라 다른 곳도 마찬가지로 항상 의아한 게  알면 정말 간단한 설정값일 텐데...

스캐너 담당자가 왜 안 알려주는 이유는 모르겠더군요 (서로 편할 텐데...)

솔직하게 PC작업자인 제가 일일이 신경 쓸 이유는 없지만 빠른 업무를 위해 도와드리는 건데  

대리점에서 일하고 있는 직원들이 설정값이 주어지기 전에는 업무를 못 본다는 게 아쉬웠습니다.


회사나 매장은 여러 프로그램 및 장치들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확인 또 확인을 하시길 바라며... ^^

반응형
반응형

거래처에서 인터넷이 잘 안된다고 연락이 와서

점검부터 해결까지 해드리고 온 이야기를 해드리려 합니다. 

 

증상은

PC를 10대 이상을 사용 중인 곳인데 

담당자께서 와이파이가 되게 연결을 하면 중간 자리인 두 대가 안되고

랜선 위치를 조금 바꾸면 그 두 자리는 다시 인터넷은 되는데 와이파이가 안 된다고 하셨습니다. 

 

일단 제가 네트워크 작업을 해놓은 사무실이 아니었기 때문에

하나하나 원인을 찾아가며 해결하는 방법 밖엔 없는 현장이었습니다. 

 

점검 순서는

전체 ip주소를 확인하고, 인터넷 원선부터 공유기 또는 허브를 확인하고

랜선을 깔아놓은 경로를 다 확인하고, 하나씩 하나씩 풀어나가야 합니다.  


네트워크 환경

iptime 허브로 점프 방식으로 여러 대 인터넷 사용을 하고 있는 사무실입니다. 

iptime 공유기는 원선이 아닌 허브에 설치가 되어있어서 무선으로 다른 네트워크 장치를 사용하기가 어렵습니다.

네트워크 기초 작업을 한 작업자가 어느선이 어디로 가는지 표시를 해줬어야 했는데 

아무런 표시가 없어서 하나하나 체크를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수동ip

각 PC에 수동ip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원선으로부터 허브로 바로 갔기 때문에 게이트웨이 기준으로 하나하나 다른 번호로 지정을 해주셔야 합니다. 

중복되면 ip충돌이 일어나서 충돌 난 기기들이 인터넷 사용을 못할 수 있습니다.


원인과 해결

인터넷이 안 되는 PC에 수동 ip를 자동 ip로 변환하여 연결된 주소를 확인해 봅니다.

아예 안 올라오거나 다른 번호가 올라온다면 대부분 연결 순서가 잘 못되었거나

연결을 잘 못했기 때문에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여기 사무실은 계속 허브를 추가해서 PC대 수를 늘린 곳이기 때문에

랜선 경로를 체크 안 해놓으면 어디가 어딘지 알 수도 없고 문제가 발생했을 때 찾기도 힘들어집니다. 

인터넷이 안 되는 자리를 기준으로 잡고 하나하나 체크를 하면서 테스트를 해본 결과 

연결이 잘 못되어 있었고 선 위치만 바꿔줘서 간단하게 해결을 했습니다. 


마치며..

유선으로 많은 기기를 연결해서 사용하실 경우에는 

허브를 점프해서 사용하시기보다는 포트수가 많은 허브를 사용하셔서 

초기 네트워크 작업, 랜선 작업 또는 공사를 하시길 바랍니다.  

그러면 선을 자르지 않는 이상 기계 문제가 아닌 이상 큰 문제가 발생할 일이 없습니다. 

네트워크는 초기에 어떻게 작업을 해놓냐에 따라 유지보수가 편합니다.

작업이 끝난 다음에 다른 작업자가 들어가게 된다면 아무래도 일일이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기게 됩니다.


PS..

개인적으로 네트워크 연결 순서는 원선 - 공유기 - 허브 - 장치를 선호를 하고 추천드리고 있습니다.

이유는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기기들까지 하나의 ip로 묶어서 편하게 사용을 하거나 공유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쉽게 설명을 드리자면 네트워크 프린터를 사용한다고 가정하고 원선 - 허브 - 공유기 순으로 설치를 하게 된다면 

유선으로만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으로 프린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유선과 무선 ip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원선 - 공유기 - 허브 순으로 설치를 하게 된다면 

유선이든 무선이든 다 하나의 게이트웨이 시작점으로 프린트를 사용할 수 있다는 이야기겠죠? 

인터넷 설치기사들 대부분 안정적인 속도 때문에 그렇다며... 원선 - 허브 - 공유기로 설치를 많이 하시던데...

글쎄요 잘 못 되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속도 테스트를 해보면 눈에 띄게 차이가 없으니 ;;  

하나의 네트워크 환경을 만들어야 하는데 굳이 ip가 따로 갈 필요가 이유가 있을까 싶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이런저런 문제들이 발생하기 마련이죠

물론 잘 아시는 분들이거나 관심이 많으신 분들은 제품 불량일 경우를 제외하면

전혀 걱정하시거나 문제 될 일은 아니겠지만요 

 

이번 포스팅은 PC 마이크를 구입을 했는데

컴퓨터에서 인식을 못할 때 확인해 보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먼저 스피커, 헤드셋, 이어셋 등을 구입하게 된다면 제품 불량이거나

선을 잘못 연결하지 않은 이상 잘 작동이 돼야하는건 누구나 다 아는 사실입니다. 

사운드 장치가 다른 PC에서 잘 작동을 하는데 내 컴퓨터에서만 안된다?

그러면 사운드카드나 드라이버 등 내 PC를 점검을 해봐야겠지요 

하지만 대부분 선을 잘못 연결했거나 제품 불량이거나 제품 수명이 다되어서 안 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제품 불량, 선 연결, 데스크탑 문제를 이제 떠나서 

이번 포스팅 주제인 PC 마이크 이야기를 왜 하냐? 하실 텐데 

최근에 한 가정집에 뭐가 안된다해서 출장을 다녀왔는데

PC도 구입한지 얼마 안 되었고 헤드셋이 아닌 이어폰 + PC 마이크 조합으로

사용을 하려는데 소리는 나오는데 마이크가 안된다고 합니다. 

가서 확인을 해보니 3극이 아닌 4극 마이크로 사용하고 있었더군요 

당연히 작동을 하는게 이상한 겁니다. 

아래 마이크 판매처 사이트에서 가져온 캡처 사진인데 보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사진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PC는 3극 노트북은 4극 플러그 사용이라고 나와있는데 

스마트기기 (스마트폰, 테블릿)등이 대부분 4극 플러그를 사용하고 

노트북도 헤드셋, 마이크 단자가 따로 있으면 3극 플러그를 사용

스마트기기처럼 하나로 되어 있는 것들이 대부분 4극을 사용합니다.

PC는 3극 플러그를 사용하기 때문에 플러그를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PC 전용인지 스마트기기 전용인지 확인을 하시고 구매를 하셔야 하고 

위 제품처럼 3극 젠더가 같이 따라오는 것인지 추가구매인지도 확인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정리

PC 마이크는 3극 플러그 

스마트기기 마이크는 4극 플러그 확인해서 사용하자

반응형
반응형

친구 한 명이 데스크탑에서 노트북으로 넘어갔는데

구입한 노트북이 home 키 하고 End 키 등을 사용하기 불편하다고

단축키 설정이 가능한 마우스로 원하는 키로 설정이 가능한지 물어보더군요

저도 게임이나 작업할 때나 마우스를 써봤고 단축키 해봐야 기본적인 

웹사이트 앞으로... 뒤로 가기 버튼밖에 안 썼다 보니 저도 궁금해져서 급하게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로지텍 게이밍 마우스 G502

집에 굴러다니던 로지텍 G502로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로지텍 마우스 소프트웨어를 설치를 하고 설정값을 하나하나 건드려 보기 시작했습니다. 

 

기본적인 클릭부터 휠 설정값 DPI 설정값이 있고 

마우스 왼쪽 버튼들을 설정을 해보기 시작했습니다. 

기본으로는 앞으로, 뒤로 버튼 그리고 윈도우키가 설정이 되어있고

이 녀석들을 다른 걸로 바꿔보려 합니다.

 

친구가 원했던 Home 키와 End 키입니다.

검색하니 표시가 되었고 설정까지 할 수 있었습니다.

인터넷 검색을 해도 나타나지 않았던 터라 당장 궁금했던 친구를 위해 잠깐 시간을 내봤습니다. 

별거 아니지만 궁금하실 수도 있는 문제라 생각했기에 포스팅을 해봤습니다.

도움이 되신 분들이 계셨길 바라며....

반응형
반응형

Synology NAS

- Synology 계정 정보를 쿼리할 수 없음

- 네트워크 오류 발생, DNS 및 네트워크 설정을 확인하십시오.


Synolgy NAS , Network 환경

  • Synology NAS

1. DS718+

2. DS214+

3. DS218+ 

 

  • Network

1. SK broadband 기업용 인터넷

2. ipTIME T16000 허브 


문제 원인 및 해결 과정

- 주말에 급하게 NAS 접속이 안된다고 해서 시놀로지 NAS 출장 업체를 찾으셨다고 한다.

- 시놀로지 NAS를 사용하고 있는 해당 업체 이사님께서 직접 다 셋팅을 하셨다고 한다. 

(많은 직원들이 사용을 하고 회사 자료, 데이터를 책임을 지셨다는 게 정말 대단하고 멋지시다고 생각이 든다.)

- 모든 셋팅을 수동으로 직접 다 하셔서 하나하나 체크를 하면서 풀고 계셨다고 한다.

- 점검하러 도착을 했을 때는 이사님께서 내부 접속은 되게끔 해결해 놓은 상태이다.

- 이제 외부만 해결하면 되는데 제어판에서 하나하나 설정 값을 확인해본다. 

- "계정 정보를 쿼리할 수 없음" 이라는 메세지가 뜬다. 

- 네트워크 설정 값 확인 (ip주소, DNS)

- DNS 서버 수동 구성을 다시 해주면 대부분 정상 작동된다.


Synology NAS 제어판 설정 값 

PC나 노트북으로 ip와 dns 서버 주소를 확인하고

캡처 사진과 같이 시놀로지 제어판에서 맞게 넣어준다면 대부분 해결이 된다. 


Synology NAS 초보자 분들은 가능하면 수동보다는 QuickConnect 기능을 사용하자 

 

반응형
반응형

영상편집할 때 주로 어떤 프로그램을 사용하시나요?

저는 프리미어 프로를 주로 사용을 하는데 최근 들어 유튜브 작업을 할 시간이 없어서 사용을 안 하다가

다른 PC에서 정말 간단하게 영상 편집을 하고 싶은데 무비메이커가 생각이 나서 마이크로소프트 홈페이지

검색을 해봐도 다운받는 곳이 사라졌는지 찾기가 어렵더군요... 

서치를 계속하던 중에 설치 파일을 찾았고 무비메이커 설치 파일은 아래에 구글 드라이브로 링크를 걸어 뒀습니다. 

그리고 마이크로소프트 홈페이지에서 무비메이커를 검색을 해보니 사진 앱으로 편집을 할 수 있다는 내용이 있더군요



사진 앱 실행화면

사진 앱을 실행하면 좌측 상단에 "비디오 편집기"라는 메뉴가 있습니다.

클릭하시면 무비메이커처럼 편하고 간단하게 영상편집이 가능합니다. 


윈도우 무비메이커 설치


무비메이커 (wlsetup-all-ko.exe) 다운로드

 

wlsetup-all-ko.exe

 

drive.google.com

무비메이커 설치파일은 제가 직접 설치해서 사용해본 파일이기 때문에

바이러스나 악성코드 같은 것은 걱정 안 하셔도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간단하게 영상편집을 하려고 한다면 사진 앱으로 쓰시는 것이 더 편하실거라 생각이 드네요 ^^

반응형
반응형
 

네트워크 프린터 스캔 드라이버 잡는 방법 (Feat. 신도리코)

안녕하세요 블로그 주인장 행진님입니다. ^^ 어제 거래처에서 PC가 부팅이 안되고 문제가 있다고 연락이 와서 바로 해결을 해드리고 포맷을 했기 때문에 다시 네트워크 작업까지 완료했습니다.

parkhj219.tistory.com

앞전 포스팅을 이어서 드라이버도 잘 설치를 했고 복합기 프린터 인쇄 물은 잘 출력이 되는데... 

네트워크 스캔이 안될 경우에 어떻게 하면 해결이 가능한지 어떤 방법이 있는지에 대해서 알려드리려 합니다.

특별한 것은 없고 바로 아래 캡처한 사진 설정 값을 확인해보면 대부분 해결할 수 있고 

천천히 사진과 글을 읽어보시면서 네트워크 설정값을 따라 해 보시면 되겠습니다.


첫 번째. 네트워크 환경  

1) 바탕화면 - 네트워크 - 마우스 우클릭 - 속성 - 고급 공유 설정 변경 

2) 제어판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 고급 공유 설정 변경

 

개인 / 게스트 및 공용 / 모든 네트워크 / 설정값 사진과 같이 확인 및 체크


두 번째. SCAN 폴더 공유

바탕화면 또는 C 드라이브에 SCAN 폴더 생성 후 공유 

공유할 사람 guest 추가 


세 번째. Windows 기능 켜기/끄기

제어판 - 프로그램 - 프로그램 및 기능 - Windows 기능 켜기/ 끄기 - SMB 체크 확인


PC를 교체하거나 포맷을 해서 프린터 드라이버를 다시 설치를 하고 출력까지는 되는데

네트워크 스캔이 안된다고 해결해달라고 하는 곳이 생각보다 연락이 많이 옵니다.

첫 번째 ~ 세 번째까지 확인을 하고 따라 해 보시면 거의 해결이 되니 한번 해보시길 바라면서...


복합기를 렌탈을 하고 사용하시는 분들이 시라면 계약한 곳에 작업을 해달라고 하면 

출장 또는 원격으로 다 해주기 때문에 상관이 없겠지만 일시불을 구매하셨거나 렌탈 약정이 끝나셨다면

제 글을 보시고 한번 설치를 설정을 해보시는 것도 좋을거라 생각이 들어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세 가지 방법에서 잘 해결 되셨기를 바라며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어제 거래처에서 PC가 부팅이 안되고 문제가 있다고 연락이 와서 바로 

해결을 해드리고 포맷을 했기 때문에 다시 네트워크 작업까지 완료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네트워크 작업 중에 알고 보면 정말 간단하지만 잘 모를 수 있는

네트워크 프린터 드라이버를 잡는 방법과 네트워크 프린터 스캔까지

사용가능하게끔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신도리코(Sindoh) D410 

거래처에서 사용하고 있는 신도리코 D410 복합기입니다. 

다른 모델도 방법이 비슷비슷하기 때문에 이 모델로 잡는 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네트워크(인터넷 - 복합기 - PC)가 정상적으로 작업이 되어있다고 했을 때 

드라이버는 각 제조사 홈페이지 다운로드 센터에서 해당 모델명과 운영체제 버전을 확인해서 다운을 받으시면 됩니다.

 

신도리코(Sindoh) 프린터 드라이버 다운로드 

 

Sindoh

 

www.sindoh.com

통합 드라이버 또는 PCL6 Driver로 다운을 받고 압출을 풀어서 SETUP 파일을 실행을 시켜줍니다.

자동으로 ip주소가 올라온다면 다음다음 설치로 넘어가면 되지만 ip주소가 올라오지 않았을 때 확인하는 방법은 

복합기 또는 프린터에서 설정에서 네트워크 설정 또는 기본정보에 ip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방법은 프린터를 사용 중인 다른 PC에서 제어판에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프린터 이름을 바꿔놨는데 설치 후 제어판에서 확인을 하시면 기본 프린터 이름으로 표기가 됩니다.

거래처에서 컬러 프린터 흑백 프린터 나눠서 사용하는데 이 설정 방법은 다음 포스팅에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프린터 속성에서 테스트 페이지를 인쇄하시고 잘 나온다면 프린터 드라이버 설치는 완료가 된 것입니다.


네트워크 프린터 스캔 잡는 방법

복합기 또는 프린터 ip주소 192.168.0.200 (프린터 네트워크 설정에 따라 다 다다르니 참고만..)를

웹사이트에 넣어주면 설정값을 줄 수 있는 페이지가 나타납니다.

우리는 스캔을 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상단에 수신지 등록으로 클릭해서 들어갑니다.

스캔을 지정하는 방법이 몇 가지 있지만 SMB로 지정 설정하는 것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주소록에 새 등록을 클릭하시면 사진처럼 빈 번호를 넣고 상용 목적지 정보 등 등이 나옵니다.

처음부터 차례차례 설명을 드리면서 나아가겠습니다.

주소록에 등록 번호는 빈 번호를 사용을 하셔도 되지만 직접 입력으로 수동으로 번호를 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스캔 화면에 나타낼 사용자 이름을 넣어주시고 쭉 내려갑니다.

목적지 정보에서 호스트 주소란에 내 컴퓨터 이름을 넣어주시고 파일 경로를 SCAN이라고 써줍니다

사용자 ID는 guest로 넣어주고 저장 또는 확인을 해줍니다. 


컴퓨터 이름

컴퓨터 이름은 시스템 속성에서 전체 컴퓨터 이름을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복합기 주소록에 넣을 호스트 주소 이름과 PC 전체 컴퓨터 이름이 동일해야 합니다.

SCAN 폴더는 바탕화면이나 C드라이브에 생성을 해주시고 공유를 해주시면 됩니다.


설정값을 다 주셨다면 스캔을 테스트를 해봅니다.

프린터 드라이버를 잡으면서 출력한 테스트 페이지 또는 테스트할만한 아무 종이를 스캔을 해봅니다.

SCAN 폴더에 PDF 파일로 생성된 테스트 페이지가 나타났다면 완료된 것입니다. 

드라이버도 잘 잡았고 프린터는 출력이 잘 되는데 스캔이 안 되는 경우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스캔 추가 설정값은 다음 포스팅에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시길 바라면서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네트워크 프린터 스캔이 안될 때 설정 방법(Feat.신도리코)

네트워크 프린터 스캔 드라이버 잡는 방법 (Feat. 신도리코) 안녕하세요 블로그 주인장 행진님입니다. ^^ 어제 거래처에서 PC가 부팅이 안되고 문제가 있다고 연락이 와서 바로 해결을 해드리고 포

parkhj219.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이번 포스팅은 울산 휴대폰 매장에 갑자기 PC가 안된다고 하여

출장 수리를 가서 해결까지 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세 대중에 두 대가 정상적으로 작동이 안 된다고 해서 동시에 그럴 수가 있나? 

라는 생각을 가지고 일단 영업을 할 수 있게 해 드려야 하니 최대한 빨리 움직였네요


메모리 접촉불량

한 대는 모니터 화면이 안 들어와서 점검을 해보니 

매우 단순한 문제 메모리 접촉 불량으로 메모리만 뺏다가 청소를 해준 뒤 다시 장착만 해주면 정상작동을 하게 됩니다.

전원은 들어오는데 화면이 안 나온다면 거의 대부분 메모리 접촉 불량입니다. 

출장비나 점검비를 아끼신다 생각하시면서 직접 한번 해보시고 도저히 안되면 그때 부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System Recovery Options / 시동 복구 시작(권장)

다른 한 대는 화면까지 잘 들어오는데 부팅이 안되더군요

가만히 냅두게 되면 Windows 오류 복구에서 시동 복구 시작(권장)으로 자동으로 부팅이 되어

복구를 준비하게 되는데 해봐야 작업 진행이 안되고, 표준 모드로 Windows 시작을 해봐도 멈춰버리거나 

재부팅이 되는 증상이었습니다. 

 

  • 오류 메세지 문제 원인 / 해결

첫 번째. 바이러스 및 악성코드로 인한 윈도우 부팅 불가 / 포맷 후 운영체제 재설치 

두 번째. SSD 및 HDD 불량 또는 고장으로 부팅 불가 / 부품 교체 후 운영체제 재설치

이 증상은 하드웨어 쪽에 문제가 없다면 원인은 정전이나 강제 종료로 인해서 윈도우가 날아갔거나

위에 글을 적어놨듯이 SSD 또는 HDD 문제로 순차적으로 점검을 해나가면 대부분 간단하게 해결 가능한 문제입니다.

입고된 PC는 정전 또는 강제 종료로 윈도우 문제가 생겼으며, 데이터를 빼내고 포맷 후 운영체제 설치하고 데이터를 옮겨서 바로 출고를 하였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