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랜만에 데스크탑을 조립하게 되었습니다.

요즘도 비트코인 덕분에 그래픽카드가 또 터무니없이 올라가고 있어서

아주 힘든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습니다.  

이젠 인텔 그래픽 카드가 나오길 기대를 해야 할 것 같네요

이번 포스팅은 케이스를 제외한 앞전 포스팅과 동일한 스펙이라

조립기가 아닌 케이스만 리뷰하려 합니다. 

요즘 작게 작게 만드는 것을 추구하고 있어서 하이엔드급도 ITX로 가고 있습니다.


쿨러마스터 MasterBox NR200P BLACK (미니ITX)

포장상태는 다른 케이스들과는 크게 차이는 없었습니다.

특이한 것은 전용 강화유리 사이드 패널이 따로 포장이 되어 있었습니다.

 

포장박스에서 꺼내면 그냥 조금 튼튼해 보이고 무난한 디자인의 블랙 케이스로 보입니다.

 

조립이 완료된 상태인데 120mm x2 수랭 쿨러는 (하단) 아래로 설치를 해야 하며

그래픽(VGA) 카드는 수랭 쿨러 설치 시 라이저 케이블로 수직으로 장착을 해야 합니다.

라이저 케이블은 3.0 제품으로 케이스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공랭 쿨러를 설치 시에는 그래픽카드가 일반적으로 설치가 가능합니다. 

확실히 사이드 패널은 강화유리가 가장 이쁘다고 생각이 드네요~!

따로 있다는 게 조금 의아 하지만..


쿨러마스터 마스터박스 NR200P 케이스는 ITX 메인보드와 SFX파워를 위한 케이스이며

수랭쿨러는 120mm x2 가 최대인 것 같고 무조건 하단에 설치를 해야 합니다.

수랭쿨러는 무조건 상단에 설치를 해야 한다는 유튜버를 본 적이 있는데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

문제가 있는 마냥 그러면 안된다는 둥 조립을 잘 못했네...라고 말을 하던데 어이가 없더군요

이 케이스를 조립 시 꼭 참고하셔야 할 부분은 하드웨어 장착 최대 크기를 꼭 확인을 하셔야 합니다.

그래픽카드는 330mm 이하라고 되어있는데 317mm 갤럭시 RTX 3080 제품이 겨우 설치가 되었습니다. 

설치 시 스크래치도 날 수 있을 정도로 긴 그래픽카드를 장착하기에 매우 협소하기 때문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요즘 그래픽카드 가격 때문에 데스크탑을 판매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제가 봐도 말도 안 되는 가격이면 판매 자체를 하지 않습니다. 

그래도 믿어주셔서 좋은 가격에 또 드릴 수 있어서 만족을 했던 하루였네요!

조립기는 유튜브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PC게임을 즐기시는 분들은 어떤 마우스 패드를 사용할까요?

그냥 아무 마우스 패드를 사용하시는 분들도 계시지만 

FPS게임을 오래 하신 분들은 마우스, 키보드, 헤드셋, 마우스 패드까지 

자신에게 맞는 장비를 찾기 위해 이것저것 바꾸기도 합니다.

저도 오랫동안 FPS게임을 즐겨왔는데 마우스와 마우스패드만큼은 돈을 많이 투자했었습니다.

게이밍 마우스 패드는 정말 다양하게 사용했는데 그중에 유리패드가 있는데 거기에 코딩까지 해가며 

마우스는 아래 붙히는 서클 (브레이킹, 슬라이딩 등등)도 이것저것 구입해서 사용한 기억이 나네요

지금은 추억이 되었지만 그때는 정말 열심히 했었던 것 같습니다. ㅎㅎ

마우스 패드에서는 가장 기억에 남는 게 QCK라 이번에 게이밍 PC를 납품하면서 드렸네요

일반적인 장패드나 이런 것보다는 게임 유저에게는 게임장비를 드리는 게 좋을 것 같았습니다.


스틸시리즈 마우스패드 Qck (이도컴퍼니) small

QCK 패드 포장이 몇 년 전보다는 너무 이쁘게 되어 있어서 놀랬습니다. 

자주 판매를 했을 때는 뭔가 투박했었는데 사무실에 좀 가져다 놔야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네요

 

포장박스를 개봉하면 이런 식으로 바로 꺼낼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스몰(Small) 사이즈이며 250X210mm 

로지텍 G1 같은 마우스에는 사용하기 괜찮은 크기입니다.

마우스 크기가 좀 있거나 마우스 사용 스타일이 손목이 아닌

팔 전체로 사용하시는 분들은 스몰 사이즈는 많이 작으실 겁니다. 


스틸시리즈 QCK 마우스 패드 사이즈는 스몰 - 미디엄 - 라지가 있고

250X210mm - 320X270mm - 450X400mm 사이즈입니다.

예전에 QCK 헤비 사이즈도 있었던 것 같은데 안보이더군요... ^^


마우스 패드도 뭐 다 똑같은 거 아니냐?라고 하실 수 있는데

사용해보시면 다르다는 것을 느끼실 수 있으실 겁니다.

게임이 아니더라도 포토샵, 일러스트, 캐드 같은 정밀한 작업을 하고 계신 분들은

스틸시리즈 QCK 마우스패드 한번 사용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려봅니다.

반응형
반응형

이번 포스팅은 노트북을 판매를 했을 때 세트로 같이 주로 판매를 하는 무선 마우스를 소개해 드리려 합니다.

노트북 자체에 있는 키패드 사용하시는 것을 불편해하셔서 무선 마우스를 따로 구입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저도 아직까지는 데스크탑을 오랜 시간 사용해와서 그런지 노트북 키패드는 사용이 많이 불편하더라고요... ^^ 

사무실 또는 작업실에 노트북을 가져오시는 고객님들을 점검, 수리를 해드리기 위해서 무선 키보드, 마우스를 꼭 챙겨 놓곤 합니다. 많은 브랜드가 있지만 개인적으로 로지텍을 선호하고 있습니다.

고장도 잘 없고 A/S도 잘해주기 때문에 저도 사용하고 판매도 로지텍을 위주로 하고 있습니다.


로지텍 무선 광마우스 M185

PC 주변기기들 중에 이렇게 포장되어 오는 것들이 많은데 개인적으로는 많이 불편하더라고요 

문제가 없으면 상관이 없는데 초기 불량이 있는 경우에는 재포장해서 다시 보내야 하는데 ㅠㅠ

고가 제품일수록 박스로 포장되고 저가 일 수록 이런 식의 포장이 많았습니다. 

 

사용하시기에 앞서 제품 포장된 것을 뜯어내시고

마우스에 있는 종이(스티커)를 화살표 방향으로 벗겨내시면 됩니다.

 

PC에 USB 수신기를 꽂으시고 마우스 뒤편(바닥면)에 보시면 On, Off 버튼이 있습니다.

켜시면 바로 마우스 사용이 가능합니다.  


로지텍 무선 마우스 M185 제품을 간단하게 소개해 드렸는데요

장점이라면 아무래도 가볍고 착한 가격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고

단점이라면 좌측 키가 없기 때문에 앞으로 가기 뒤로 가기를 할 수 없다는 게 단점이라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네요


요즘 시간이 지날수록 데스크탑 사용자보다 노트북 사용자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보니

작업이나 게임을 하기 위한 고성능 데스크탑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제 주변 사람들도 그렇고 거래처들도 노트북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채굴로 인해 그래픽카드 가격이 점점 산으로 가고 있어서 인지

게임 유저들도 데스크탑이 아닌 게이밍 노트북으로 구입해서 즐기는 모습도 많이 봤습니다.

저 또한 작업이 아닌 게임을 하기 위해 조립 문의가 들어오면

노트북을 구매하시는 것을 추천드리고 있을 정도이니까요...^^

반응형
반응형

이번 포스팅은 ASUS ROG STRIX G713QM 노트북을 소개해 드리려 합니다.

ASUS ROG STRIX는 게임용으로 많이 추천드리고 판매하는 노트북인데요

가격대에 따라서 스펙이 많이 달라지는 ASUS ROG 시리즈입니다.

ROG 시리즈 모델을 아주 좋아하기 때문에 여유가 된다면 꼭 하나 장만하고 싶은 노트북입니다.


ASUS ROG STRIX G713QM-BR5939ED

ASUS ROG 시리즈이며

제품 모델명은 G713QM-BR5939ED 입니다.

CPU는 최신 라이젠 5900HX가 들어가 있고

RAM은 16GB DDR4, SSD는 NVMe 1TB, VGA는 NVIDIA GeForce RTX 3060 6GB 입니다.

디스플레이는 17.3인치 QHD이며, WiFi 6 지원합니다.

무게는 게이밍 노트북이라 2.7kg 나갑니다. 

특장점은 고성능을 위한 CPU와 VGA가 아닐까 싶네요!

ROG STRIX 시리즈는 고사양 게임을 위한 노트북이면서

웬만한 작업은 거의 다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고성능 노트북입니다.


100만 원 후 반대 200만 원선 노트북을 보고 계시거나

게임용, 업무용, 설계용, 편집자들에게는 추천하는 모델입니다. 

아직까지 그래픽카드(VGA카드) 가격이 말도 안 되게 비싸기 때문에 

게임을 위해서 데스크탑으로 가시기보다 노트북으로 추천을 드리는 편입니다. 

당분간 가성비 PC는 데스크탑이 아닌 게이밍 노트북이 될 듯합니다.


100만 원 중 후 반대를 보신다면 

ASUS ROG G713QM-HX185 모델을 추천드립니다. 

조만간 G713QM-HX185 모델도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앞전 ASUS VivoBook S14M433UA 포스팅에 이어서

S14M433UA에 탑재된 CPU 라이젠 5500U 및 라데온 내장 그래픽을 간단하게 테스트를 해봤습니다.처음 만져보는 것은 시간 가는 줄 모르고 테스트를 해보네요 ^^이제는 혼자만 알고 있는 것이 아닌 블로그에 하나하나 다 올려보려 합니다. 


Cinebench

 

먼저 시네벤치 입니다.

CPU 성능과 온도를 확인하기 위해 HWMonitor를 추가로 사용했습니다.

RYZEN 5500U는 6코어 12쓰레드로 확인이 됩니다.

아이들시 39도, 풀로드 75도 나오더군요 

MAX 4.0GHz (4000MHz), 풀로드 평균 3.2GHz (3200MHz) 입니다.  

 

 

작업 관리자에서

CPU와 RAM(메모리)이 열심히 일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6282점으로 

모바일 CPU intel i7-1165G7 보다 확실히 높은 점수가 나왔습니다.

데스크탑 CPU intel i7-7700K 와 큰 차이가 없을 정도로 성능이 좋았습니다. 

싱글코어 테스트는 안 해봤는데 싱글은 아마 intel이 나으련지...?


FireStrike

 

파스는 돌려보니 죽으려 하더군요 

그래픽 점수는 기대도 안 했지만 인텔하고 비교를 좀 해봐야겠습니다.

아마 인텔보다 나을 거라 예상됩니다.


리그오브레전드(LOL)

국민게임? 롤은 너무 잘 돌아갑니다. 

곰돌이로 혼자 정글을 도는데 프레임은 100 이상 되시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롤토체스는 옵션을 조절하면서 해봤는데 뭔가 깔끔하진 않아 보였습니다. 


오버워치

 

잘 돌아가리라 생각은 안 했지만 역시나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은 아닙니다.

훈련장에서 내장 그래픽으로 돌려 봤을 때는 생각보다 잘 돌아가더군요

데스크탑 CPU 라이젠 3400G , 내장그래픽 베가 11 보다는 더 깔끔하게 돌아갔습니다.


철권7

 

라이젠 3400G 보다는 확실히 잘 돌아갔습니다.

테스트하는 척하며 오래간만에 몇 판 즐겨봤습니다

옵션을 낮추면 낮출수록 플레이가 좀 더 부드러웠고

옵션을 올리면 보긴 좋으나 반응이 느려지더군요

사진으로만 보셔도 그래픽 화질차이가 많이 느껴지실겁니다.

철권은 한때 빠져 살았는데 지금은 힘들어서 못하겠더군요 ^^


배틀그라운드나 콜오브듀티는 테스트에서 제외했습니다.

어차피 오버워치도 원활하게 못하면 그 이상인 고사양 게임을 돌려볼 이유가 없겠죠?

간혹 유튜브나 블로그에서 노트북 내장그래픽으로 고사양 게임을 할 수 있다는

댓글이나 글을 본 적 있는데 해보셨으면 절대 그런 이야기를 할 수 없을 겁니다.

뭐 고사양 게임을 돌릴 수는 있습니다. 돌릴 수는 있죠... 해보시면 아시겠지만 답답해서 내가 돌아 버립니다.

버버버벅 하면서 그래픽도 엉망이 되어버린 게임을 하고 싶진 않으실 거라 생각이 드네요  


라이젠 5 5500U 모바일 CPU를 한번 불태워 봤습니다.

아주 열심히 일을 시켜봤네요 ^^

개인적으로는 견적을 내고 서류를 보내고 하는 일도 많지만

블로그를 하기 위한 그리고 동영상을 편집을 하기 위한 노트북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꼼꼼히 따져보고 판매하면서 납품하면서 다양한 제품들을 보게 되는데

이번에 테스트하면서 라이젠 5500U가 들어간 노트북은 매력적으로 다가왔습니다. 

ROG 게이밍 노트북으로 가느냐... 아니면 비보북으로 가느냐 고민이 엄청되네요


하드웨어 테스트를 해보는 건 생각보다 재밌습니다. (변태인가...?)

"퀘이사존"같은 전문적인 사이트에서 자료를 더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PC 하드웨어를 좋아하기 때문에 혼자서 알아가고 고객님들께만 설명을 드려봤는데

생각보다 이렇게 글 쓰는 것도 재밌네요 앞으로 새로운 하드웨어를 만나면 글로 다 남겨보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이번 포스팅은 ASUS VivoBook S14M433UA 노트북을 소개해 드리려 합니다.

ASUS VivoBook(비보북)은 사무용으로 많이 추천드리고 판매하는 노트북인데요

가격대에 따라서 좀 더 가벼워지고 성능도 좋아지는 ASUS 비보북 시리즈입니다.

S14M433UA 모델은 최근에 나온 비보북중에서는 가장 마음에 들고 하나 살까? 싶은 모델입니다.


ASUS VivoBook M433UA-EB037


ASUS 비보북 시리즈이며 

제품 모델명은 M433UA-EB037 입니다.

CPU는 최신 라이젠 5500U가 들어가 있고

RAM은 8GB DDR4, SSD는 NVMe 512GB, VGA는 라데온 내장그래픽입니다.

디스플레이는 14인치 FHD이며, WiFi 6 지원합니다.

특장점은 1.4kg인 무게와 하만카돈 오디오가 아닐까 싶네요!

비보북은 사무용으로 게임을 하기 위한 노트북은 아니지만 

라이젠 5 5500U CPU를 처음 만져봐서 이것저것 테스트를 좀 돌려봤습니다.

5500u CPU 테스트는 다음 포스팅에서 이어서 하겠습니다. 


60만 원 중후 반대 70만 원선 노트북을 보고 계시거나

사무용, 업무용, 블로거들에게는 요즘 강력추천하는 모델입니다. 

롤 같은 저사양 게임은 날아다니니 저사양 게임을 하시는 분들 중에

노트북이 필요하시다면 추천드려봅니다. 


구입 링크

 

[ASUS] VivoBook S14 M433UA-EB037 R5-5500U [8GB/ 512GB/ FD] [드리미 화이트] [기본제품]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업체에서 한글 2018 인쇄가 안된다고 연락이 왔는데 

엑셀이나 PDF 파일들은 인쇄가 되는데 한글만 안된다고 하더군요

그럼 한컴오피스만 재설치하면 되는 거 아닌가?라는 단순하게 생각을 하겠지만  

삭제하고 재부팅 후 정상적으로 재설치를 했는데도 안된다고 해서 출장을 갔습니다.

요즘 대부분 유무선 네트워크 프린트를 사용하는데

이곳은 아직까지 공유로 프린트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다른 자리들은 정상적으로 자료 공유도 되고 프린트 인쇄도 잘됩니다.

한자리에서만 다른 건 다 되는데 한글만 인쇄가 안되어

재설치 후 패치를 따로 해주고 해결이 되었습니다. 


해결방법

 

아래 링크로 접속하셔서

한컴오피스 2018 패치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설치만 해주시면 바로 해결되는 간단한 문제입니다. 

기존 파일들은 전체 삭제를 해주시고 재설치 후 패치 적용하시길 바랍니다.

 

 

글로벌 소프트웨어의 리더, 한글과컴퓨터

한컴오피스 2020 체험판 (Windows 용) (30일간 사용 가능) --> 한글, 한셀, 한쇼, 한PDF, 개인정보탐색기, 한컴 사전, 한컴 타자연습, 한컴 문서찾기, 한OCR로 구성된 체험판입니다. - PC : Windows 7 이상 / 모

www.hancom.com

 

PC 또는 네트워크 관련된 문제들은 

정말 사소한 거 하나 때문에 작동이 안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별거 아니지만 도움이 되셨길 바라면서.

반응형
반응형

컴퓨터를 구매를 했을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성능 점검부터 해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특히나 고사양 컴퓨터(하이엔드 PC)는 필수로 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구매한 PC가 (100%)풀로 돌렸을 때 정상작동을 하는지 안 하는지

사용 도중 멈추지는 않는지를 확인해보기 위해서 

사용해볼 수 있는 프로그램 중에 하나인 시네벤치(cinebench)를 소개해 드리려 합니다.

먼저 쉽게 다운(설치) 방법부터 알려드리고 이어가겠습니다.


시네벤치(Cinebench) - 설치 방법

 

Windows10 기준으로 Microsoft Store를 실행합니다.

 

 

Microsoft Store를 실행하셨다면 검색창에 Cinebench를 검색합니다. 

 

 

저는 설치를 했기 때문에 "시작"으로 표시가 되어 있지만 

설치를 처음 하시는 분들은 "설치"라고 되어 있을 겁니다.

클릭하시면 바로 설치가 진행됩니다. 

 

 

설치가 완료된 모습입니다.

점검이나 점수를 확인하기 위해서 특별히 설정을 할 것은 없습니다. 

CPU (Multi Core)에 Start 버튼을 클릭해주시면 바로 실행을 합니다.

 

 

PC에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테스트 후 정상적으로 종료가 되며

좌측 하단에 Ranking 목록에서 자신의 CPU 점수가 나타납니다.


CPU

시네벤치를 실행하면 CPU를 100% 사용을 하기 때문에

데스크탑 쿨링 구성 환경마다 다르겠지만 CPU 온도가 최대로 올라가기 때문에 

100도가 넘어가면 멈춰버리거나 재부팅이 되어 버립니다. 

하드웨어 쪽에 문제가 있거나 오버클럭이 잘 못 되어 있다면 멈춰버리거나 재부팅이 됩니다. 

 

RAM (메모리)

시네벤치를 실행하면 RAM(메모리) 또한 많이 사용됩니다.

RAM 용량에 따라 다르겠지만 CPU처럼 100%를 다 사용하진 않습니다. 

 

그 외 하드웨어

시네벤치는 CPU 점수와 상태 확인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 보시면 됩니다. 


테스트나 점수를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여러 가지 있습니다만

CPU 점수 확인, CPU 오버클럭 후 풀로드 정상작동 확인 용도 등으로

Windows10에서 무료로 쉽게 설치를 할 수 있는 cinebench를 소개해드렸습니다.  

저가형 사무용 컴퓨터는 굳이 안 하셔도 되지만 

고사양 컴퓨터 (하이엔드 PC)에서는 오버클럭 유무를 떠나서 

100% 로드 정상작동, 온도 확인 등을 위해 꼭 한번 돌려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반응형
반응형

미니타워 일체형 수랭 시스템 조립기

INTEL i9-11900K 11세대 로켓레이크 벌크

아직 그래픽카드 가격이 터무니없이 비싸지만 

개인방송 및 게임을 하기 위해서 400만 원 전후로 조립 의뢰가 들어왔습니다.

CPU는 제가 좋아하는 인텔로 요청을 주셨고 단가를 맞추기 위해서

INTEL i9-11900 나 i9-11900KF 정품 박스로 하려고 했으나

도매처에서 재고가 없어서 INTEL i9-11900K 벌크로 주문했습니다. 

ASUS ROG STRIX B560-I GAMING WIFI STCOM

요즘 미니멀하게 조립하는 것을 좋아해서 ITX 구성으로 제안을 드렸고

ASUS ROG STRIX Z590-I GAMING WIFI 메인보드로 가고 싶었지만 금액대를 맞춰야 하기 때문에 

ASUS ROG STRIX B560-I GAMING WIFI 메인보드를 선택해서 조립을 시작하였습니다. 

INTEL I9-11900K + ASUS ROG STRIX B560-I GAMING WIFI STCOM

M-ATX 보드에 미니타워 케이스로 조립하는 것을 좋아했었는데

요즘은 하이엔드 고성능 PC는 아예 ATX로 크게 가던가 ITX로 작게 가는 것을 고집하게 되네요 ^^

삼성전자 980 series 1TB M.2 NVMe 1TB MZ-V8V1T0BW

SSD는 삼성전자 980 series 1TB M.2 NVMe 제품을 사용했습니다.  

NVMe SSD는 삼성전자 제품이나 WD 제품을 주로 사용하는데

최근에는 삼성 SSD를 많이 사용하게 되네요 ^^

NZXT KRAKEN Z53

CPU 쿨러는 NZXT KRAKEN Z53 수랭 쿨러를 사용했습니다.

일체형 수랭 쿨러는 NZXT와 Corsair 브랜드를 주로 사용하는데 

불량을 몇 번 맛을 보고 난 뒤는 NZXT 제품을 주력으로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크라켄 Z53은 쿨링 성능도 성능이지만 아무래도 디스플레이에 나오는 감성 때문에

더 사용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Team Group T-Force DDR4 32G PC4-32000 CL18 XTREEM ARGB 화이트 (16Gx2) 서린

메모리(RAM)는 Team Group T-Force DDR4 32G PC4-32000 CL18 XTREEM ARGB 화이트 (16Gx2) 서린

제품을 사용하였고 화이트와 RGB 감성으로 주문했습니다. 

4000MHz, PC4 32000, CL18-24-24-46, 1.4v 으로 XMP1 or XMP2 가 가능합니다. 

Galaxy GeForce RTX 3080 SG D6X 10GB LHR

그래픽카드(VGA)는 Galaxy GeForce RTX 3080 SG D6X 10GB LHR 제품을 선택했고

주문 가능한 RTX 3080 중에 가격이 저렴한 글카를 주문해서 사용했습니다.

LIAN-LI PC-O11D Mini White

케이스는 미니타워 제품 중에 라디에이터와 RTX3080 크기를 생각해서 

LIAN-LI PC-O11D Mini White 제품을 선택했습니다. 

아무래도 미니타워 중에서는 조립 및 선정리가 편하고 확장성 또한 좋기 때문에 많은 분들께서 좋아하는 케이스라 생각이 듭니다. 단점은 미니타워 치고는 좀 많이 큽니다.

하이엔드 PC TEST 

하이엔드 제품들은 케이스 안에 넣기 전에 부품별 테스트를 진행하고 조립을 합니다. 먼저 조립부터 해버리면 초기 불량이 나타나면 아주 멘탈이 순두부가 되어버리기 때문입니다. 하나하나 정상작동을 하는지 확인을 한 후 조립을 진행합니다.  특히 커스텀 수랭 작업을 하게 되면 무조건 테스트 후 조립을 해야 합니다. 배관까지 다 작업했는데 초기 불량이라면... 으 너무 끔찍하네요  

쿨러마스터 V850 SFX GOLD

파워서플라이(POW)는 리안리 케이스에 맞는 SFX 규격인 쿨러마스터 850W GOLD를 사용했습니다.

i9-11900K 그리고 RTX3080 조합을 버티려면 최소한 850W 이상 이 정도 제품으로 투자를 하셔야 합니다.

미니타워 게이밍PC

하이엔드 제품들은 조립을 하기까지 테스트 진행은 아래와 같습니다. 

초기불량테스트 - 스트레스테스트 - 온도테스트를 순서대로 진행합니다. 

프로그램은 하나만 사용하지 않고 - 씨네벤치, LinX, TM5, 3DMark (FireStrike, TimeSpy)를 다 사용합니다. 

조립 컴퓨터 선정리

컴퓨터 관련 업자에게 선정리는 숙명이란 표현을 써도 과언이 아닙니다. ㅋㅋ

무조건 깔끔하게 안 보이게 A/S도 편하게 해야 하는데 그게 정말 어렵습니다.

무조건 깔끔하게 하려면 케이블 타이를 주로 많이 쓰기 때문에 나중에 수리할 때 아주 피곤해지고

A/S만 생각해서 조립을 하게 된다면 선정리를 거의 안 하는 거 마냥 안 보이게 숨겨야 합니다.

그걸 둘 다 해야 하는데 다 자기들만에 노하우로 하게 되는 것이죠  

LIAN-LI PC-O11D Mini White 조립기

고객님께서 계시는 곳까지 직접 배송 및 설치를 해드리며

테스트를 하고 출고를 하지만 정상작동부터 원하시는 작업이 다 완료될 때까지 해드립니다.

부품별 보증기간은 기본이며 추후 A/S를 중요시 여깁니다. 

제가 구입 전이나 구입 후에 꼭 하는 멘트가 있다면 

"3년간은 돈 들어갈 일은 없으실 겁니다."라고 말씀을 드립니다. 

그 이유는 고장이 나더라도 제조사 무상 보증기간이 있고 저희 매장도 판매를 했을 때

기본 무상 A/S 기간이라는 원칙이 있고 부품별로 각각 1~10년 다 직접 보증을 해드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CPU. INTEL i9-11900K

M/B. ASUS ROG STRIX B560-I GAMING WIFI STCOM

RAM. Team Group T-Force DDR4 32G PC4-32000 CL18 XTREEM ARGB 화이트 (16Gx2) 서린

SSD. 삼성전자 980 series 1TB M.2 NVMe 1TB MZ-V8V1T0BW 

VGA. Galaxy GeForce RTX 3080 SG D6X 10GB LHR

POW. 쿨러마스터 V850 SFX GOLD

CASE. LIAN-LI PC-O11D Mini White

COOLER. NZXT KRAKEN Z53 


 

LIAN-LI PC-O11D Mini White 케이스 초기불량 볼트불량

리안리 케이스 초기 불량이 있어서 출고까지 시간이 좀 걸렸었습니다.

전면, 옆면 유리를 (탈착) 들어내려면 상단 패널이 열려야 하는데 왼쪽 볼트가 나갔더군요

어떻게든 그냥 열어서 사용하려고 했는데 파손될 까봐 그냥 포기하고 교환받았습니다.

선출고 요청을 했지만 담당자 실수로 그다음 배송으로 연기되고 물류센터에 묶이고

1주일 내내 스트레스를 받다가 겨우 출고까지 도와드렸네요. 

재고 장사를 하지 않고 보증기간 때문에 직발주를 고집하다 보니 

개인적으로 초기 불량 2번 이상 나타나면 그 해당 모델은 두 번 다신 사용을 안 합니다.

최근 들어 가장 마음에 드는 케이스지만 초기 불량이 한두 번 더 나타나면 이 녀석도 안쓸 것 같네요  


마치며...

오랜만에 조립 PC를 포스팅했는데요

두서없지만 하고 싶은 이야기를 간단하게 다 쓴 것 같아 만족이 됩니다.

뭔가 더 전문성 있게 블로거같이 글을 쓰고 싶지만 하다 보면 늘겠죠 ^^?

오늘은 오전 5시에 출근해서 이것저것 하다가 포스팅을 쓰게 되었네요 

저는 피곤한 하루가 되겠지만 제 글을 보고 계시는 분들은 행복하고 즐거운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이번 포스팅은 기존 거래처에서 소개를 해주셔서 

첫 만남을 하게 된 곳에 가서 네트워크 점검을 한 내용으로 글을 작성하려 합니다.

인터넷을 잘 사용하다가 한 달 전부터 인터넷 또는 전화가 가끔 끊긴다고 해서 점검 의뢰를 해주셨습니다.


네트워크 환경

인터넷 원선(KT) - iptime 공유기 - iptime 스위칭 허브로 연결이 잘되어 있었습니다.

모뎀은 현 증상 때문에 최근 교체를 했다고 합니다.

공유기는 조금 오래되었고, 허브에 문제는 없었습니다. 

총 4대 PC와 전화기를 사용하고 있었고 인터넷속도측정부터 시작했습니다.

KT 광랜 100Mbps 을 사용해서 다운로드, 업로드는 90 이상 잘 나와줬습니다.

지연시간, 손실률 또한 아주 좋았습니다. 

다른 룸에 외부로 랜선을 날려서 연결해놨던데 노후돼서 그런지 케이블이 조금 벗겨져 있었습니다.

그 방에서 측정을 해보니 다운로드는 80대 나머지는 잘 나와줬습니다.  

이까지 글만 보시면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담당자분들께서 계속 인터넷, 전화기가 끊겨서 업무 중에 스트레스를 받고 계신다고 해서 작업을 해드렸습니다.


그럼 다 정상 같아 보이는데 어디가 문제일까요?

문제가 생기는 가장 유력한 원인은 바로 공유기입니다.

그냥 인터넷이 되고 WiFi가 된다고 해서 정상작동이 된다고 생각하는 게 문제입니다.

PC는 몇 대가 사용되고 노트북은 몇대가몇 대가 사용되고 스마트기기는 몇 대가 사용되고 

주변장치는 몇대가 사용되는지 먼저 파악을 해봐야 합니다.

여기 문제가 발생하는 사무실 같은 경우에는 PC4대 전화기 4대 프린트 하나입니다

원선에서 허브로 가면 전혀 문제가 생기지 않습니다. 

그런데 스마트기기(휴대폰, 태블릿 등)도 다수가 사용하기 때문에 과부하가 된다는 겁니다.

원선 - 공유기 - 허브로 가고 있는데 공유기가 오래되고 저사양이라면 문제가 발생한다는 이야깁니다.

돈을 아끼려면 원선 - 허브 - 공유기로 간다면 문제가 바로 해결되겠지만

각종 무선기기도 한 ip를 사용해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공유기만 바꿔주면 해결이 됩니다. 


기존 네트워크 업체 또는 인터넷 기사가 

랜선 깔아놓은 게 너무 오래돼서 그런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고 하고 갔다는데

그 말이 맞을 수도 있겠지만 랜선이 잘리거나 찢어지지 않는 이상 대부분 문제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랜선(케이블)이 초기 불량은 있을 수 있지만 10년 넘게 네트워크 작업을 해온 제가 봤을 때

선 문제로 작업을 한 경우는 책상 위치나 물건은 옮기다가 랜선이 잘리거나 찢어졌을 때나

선을 교체를 해서 해결을 했고 그 외는 대부분 네트워크 기기 문제였습니다.

모뎀, 공유기, 허브를 점검을 하나씩 하다 보면 어디가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 해결을 해야 하는지 나옵니다.


마치며..

어떤 작업을 하든 100% 확신을 하고 이야기를 하지 않습니다.

어디서 어떻게 다른 곳에서 문제나 증상이 또 나타날지 모르기 때문에

전부 다 확인을 해서 해결을 다 해놓고 "어디가 문제였습니다."라고 이야기를 하는 편입니다.

과정보다는 결과를 중요시하는 사람이라고 보실 수도 있겠습니다만...

다른 거는 과정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작업과 상품은 결과우선이라 생각이 듭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